살신성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殺身成仁(살신성인)은 자기의 목숨을 희생하여 옳고 의로운 도리를 실현하는 태도를 뜻하는 사자성어다. 이는 개인의 안위보다 도덕과 정의를 중시하는 자세를 상징하며, 고대 유학에서 가장 고귀하게 여긴 덕목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한자 풀이殺(죽일 살): 죽이다身(몸 신): 자기 몸, 육신成(이룰 성): 이루다, 성취하다仁(어질 인): 인(仁), 사랑과 정의, 도덕적 이상⇒ 자기 몸을 죽여서 인(仁)을 이룬다는 뜻으로, 도덕적 신념을 위해 자신의 생명을 아끼지 않는 자세를 나타냄.유래와 배경이 말은 공자의 『논어(論語)』에 등장한다. 공자는 “살신성인”이라는 표현으로, 목숨을 걸고라도 인(仁)을 실천해야 한다는 도덕적 이상을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희생을 넘어, 자기 희생을 통한 공동체적 정의 구현을 상징하는..
2025. 5. 21.
결초보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結草報恩(결초보은)은 “結(결): 묶다”, “草(초): 풀”, “報(보): 갚다”, “恩(은): 은혜”라는 한자어로, 글자 그대로는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이다. 그러나 실제 의미는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반드시 갚는다는 충성과 보은의 상징이다.결초보은의 뜻과 유래결초보은의 정의결초보은은 생전에 받은 은혜를 죽어서라도 반드시 갚겠다는 다짐 또는 그 행위 자체를 뜻하며, 은혜에 대한 보답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동양적 가치관을 잘 보여주는 말이다.의미죽어서라도 은혜를 갚겠다는 충절받은 은혜를 결코 잊지 않고 되갚는 도리은혜에 대한 감사와 충성의 표현사용 맥락스승, 부모, 은인을 향한 깊은 감사의 표현조직이나 단체의 희생정신과 충성심 강조역사적 인물이나 영웅의 충절을 기릴 때결초보은의 유래『..
2025. 5. 2.